const year = Number(prompt("태어난 해를 입력하세요 (YYYY)"));
const e = year % 12;
let result;
if (year == " ") {
alert("데이터를 입력하지 않았습니다.");
} else {
if (e == 0) {
result = "원숭이";
} else if (e == 1) {
result = "닭";
} else if (e == 2) {
result = "개";
} else if (e == 3) {
result = "돼지";
} else if (e == 4) {
result = "쥐";
} else if (e == 5) {
result = "소";
} else if (e == 6) {
result = "호랑이";
} else if (e == 7) {
result = "토끼";
} else if (e == 8) {
result = "용";
} else if (e == 9) {
result = "뱀";
} else if (e == 10) {
result = "말";
} else if (e == 11) {
result = "양";
}
alert(`${year}년에 태어났다면 ${result} 띠입니다.`);
}
if (year == " ") {
alert("데이터를 입력하지 않았습니다.");
} else {
if (e == 0) {
result = "원숭이";
이부분에서 } else { 를 넣지 않으면
숫자도 같이 입력하게 돼서 확실히 잘 정리해야한다.
const year = Number(prompt("태어난 해를 입력하세요 (YYYY)"));
// const e = year % 12;
const tti = "원숭이, 닭, 개, 돼지, 쥐, 소, 호랑이, 토끼, 용, 뱀, 말, 양".split(
","
);
alert(`${year}년에 태어났다면 ${tti[year % 12]} 띠입니다`);
엄청 간단하게 하려면 이렇게 하면 된다 !
'프론트엔드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개변수, 인수, 익명함수, 기명함수, 자기호출함수, 화살표함수 (0) | 2023.11.06 |
---|---|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 (0) | 2023.11.06 |
실습(점수 입력받기) (0) | 2023.11.01 |
실습(if로 통해 짝수 홀수 및 숫자 입력) (0) | 2023.11.01 |
11.01 수업 내용(if, switch, array) (0) | 2023.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