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te Blinking Unicorn

서버/Node.js

Packet Tracer

민밥통 2023. 12. 13. 16:47

네트워크 기초 용어

 

컴퓨터와 컴퓨터들 간 데이터가 전송이 되고 데이터를 받고 하는 것들을 네트워크 통신이라고 한다. 

편지 쓰는 것과 같이 양식에 맞춰서 통신을 해야한다. 

그 양식에 대한 이야기를 할 예정

네트워크랑 하드웨어적 전송 매체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는 것 또는 교환하는 것이라고 보면 됨.

 

인터페이스는 시스템과 전송 매체의 연결 지점에 대한 규격인데 여기서 말하는 인터페이스란 뭘까?

 

컴퓨터 뒤에 램카드가 꽂혀 있는데 프로토콜은 통신 규칙이라고 보면 된다. 

노드는 컴퓨터 이론 분야에서 특정 시스템을 가리키는 가장 일반적인 용어 (컴퓨터에 있는 게 하나의 노드라고 보면 됨) 

 


OSI 7 계층 모델 

1레이어는 통신, 통신이기 때문에 UTP 

2레이어는 랜 케이블 랜카드

3레이어는 네티워크 

4레이어 방식

각 레이어가 하는 장비가 있다. 

 

물리계층이면 물리계층만 담당하고 

2레이어면 2계층 장비가 한다. 

4레이어는 전송하는 방식 > 여기서부터는 컴퓨터라고 보면 된다 .

 

아래서 위로 올라간다. 데이터를 보내고 싶다고 하면 응용 계층부터 밑으로 내려오면서 데이터 앞에 헤더라는 걸 붙힌다. 

헤더여서 앞에 뭐가 붙혀짐.

 이 헤더를 누가 열어보나 > 해당되는 장비들만 열어 봄

1레이어 장비는 1레이어만 열고 2레이어 장비는 2레이어만 열어 본다.

 

1레이어 장비는 뭐가 있을까?

네트워크 장비중에 1레이어. 리피터 있음(증폭 시킴)

신호를 들어와서 증폭시켜주는 것. 신호가 100m 정도 UTP 선이 100m 정도 가면 신호가 약해진다.

증폭시켜주는 애를 리피터라고 하고 1레이어 물리 계층이라고 한다. 

 

2레이어 장비는 스위치 이다.

스위치모양은 이렇게 해서 포트 구멍이 많은 게 있다.

그게 스위치라고 하고 2레이어 장비이다.

 

3레이어 장비는 라우터라고 보면 된다.

 

1물리적 계층은 신호가 증폭하거나 아니면 약하진 걸 증폭하는 그런 기능을 담당하고,

2레이어 스위치 장비는 우리가 맥 주소를 관리한다. 컴퓨터으 ㅣ맥 주소, 네트워트 주소, 네트워크 카드 주소. 16진수로 되어 있는 네트워크 카드 주소로 연결이 된다.

IP가 필요없다(네트워크 구축하게 되면)

(스위치로만 구성되어 있는 네트워크는 아이피가 필요 없다. 맥주소로 한다. )

아이피 가 필요한건 3레이어 부터다

3레이어 라우터는 아이피를 관리한다고 보면 되고 2레이어는 웹주소, 네트워크 카드주소라고 보면 된다.

 

그래서 여기서부터는 방식이다.

4레이어는 TCP IP이다. 

TCP는 신뢰성이 있는 프로토콜. 

UCP는 신뢰성이 없는 프로토콜이라고 한다.

 

TCP 같은 경우에는 파일 다운로드 받는 것. 패킷이 10개 인데 10개 다 와야 쓸 수 있는 것들

그런 것들을 우리가 신뢰성 있는 전송 방식으로 받아야 한다.

UDP 같은 경우에는 그냥 막 뿌림. 받든 안 받는 데이터에 막 뿌린다 > 라이브 스트리밍 같은 데에 많이 쓰임

화질이 깨지든 말든 받을 사람을 받아라 신뢰성이 있다는 건 패킷을 줬을 때 받았다는 응답 메세지 까지 받아야 두번 째 전달

 

 이것을 TCP라고 함 (신뢰성있는)

UDP는 그냥 보냄 !!!!!!!!!!!!!!!!!!!

4레이어 부터는 애플리케이션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응용 프로그램에서 자기네가 독특한 방식이 있으면 여기에다가 집어 넣음. 

(우리는 잘 안쓴다)

 

OSI 7계층이라고도 이야기하고 TCP IP 4계층이라고 한다. 


계층별 기능
§물리 계층 : 호스트를 전송 매체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규칙과 전송 매체의 특성을 다루며, 크게 유선 매체와 무선 매체로 구분
§데이터 링크 계층 : 물리 계층의 오류에 관한 오류 제어 기능을 수행
§네트워크 계층 : 송신 호스트가 전송한 데이터가 수신 호스트까지 안전하게 도착하려면 여러 개의 중개 시스템인 라우터를 거쳐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데이터가 올바른 경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계층
§전송 계층 : 송신 프로세스와 수신 프로세스 간의 연결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프로세스 사이의 안전한 데이터 전송을 지원
§세션 계층 : 전송 계층에서 제공하는 연결의 개념과 유사한 세션 연결을 지원하지만, 이보다는 더 상위의 논리적 연결, 응용 환경에서 사용자 간 대화 개념의연결로 사용되기 때문에 전송 계층의 연결과 구분
§표현 계층 : 전송되는 데이터의 의미를 잃지 않도록 올바르게 표현하는 방법을 다룸, 정보를 교환하는 호스트들이 표준화된 방법으로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게 해줌
§응용 계층 : 일반 사용자를 위한 다양한 네트워크 응용 서비스를 지원


패킷 트레이서 

DHCP > 주소 방식 IP 공유기 자동으로 분배해줌 

static 고정 IP를 집어넣어야 함. 201.00.01 이런 식으로 여기서는 네트워크 주소하고 호스트 주소로 나눠진다. 

네트워크 주소는 뭐냐하면 우리가 공유하는 이 건물에서 쓰는 네트워크 주소라고 보면 된다. 

 210. 117. 212.*(네트워크 주소)/ 256 *(호스트주소)

이걸 나누는 것을 서브넷 마스크로 한다.

255.255.255.0

이렇게 되어 있음 (서브넷 마스크를 보면) 

 

서브넷 마스크를 조정해서 개수를 늘리든가 할 수 있다. 

255.0.0.0.0 는 A 클래스 255.255..0.0 B클래스로 보면됨

 

게이트웨이는 뭐냐 > 데이터가 나가는 문이라고 보면 된다 (3번째)

데이터가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할 때 그 장비를 거쳐가는 걸 게이트웨이라고 이야기한다. 

 

이렇게 스쳐지나가야 한다. 아이피 관리하려면 라우터 주소를 입력 해줘야한다. 

 

번개로 연결한다 양쪽으로 초록색이 되어야 연결 된 걸 확인


핑 테스트를 함 

ping 10.10.1.2 ( 2번째 컴퓨터의 주소)

연결되었는지 확인

 


아두이노 

코드를 짜시던컨트롤 할 수 있게끔 되어 있음. 

통신만 되는거로 함 

 


 

 

 

 

http 다 켜놓고

 

PC1에서 서버 확인 해보기 

연결 완료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음

DNS 넣을 것이다

 

도메인 네임 서비스라고 한다 

 

 

위와 똑같이 아이피 적고 서비스에 DNS on해서 

 

 

 

 

도메인 네임이 잘돼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어떻게 하면 되나? 

 

 

IP하고 서브넷 마스크 들어가 있는데 DNS 주소가 없어서 안됨

그래서 집어 넣어야 한다. 

위에 다 10.10.10.N으로 다 바꿈 ㅠㅠ 뿌엥 아무튼

다 넣음! 


라우트 

포트가 많이 있으면 안된다 했음 

라우트의 특성은 포트들이 다 다운되어 있어서 켜야함 

 

스위치랑 라우터를 연결하고 ON함 기가빗 0/0/0으로 연결해야함

 


디폴트 게이트웨이에다가 IP를 입력해야한다 (라우터)

 

라우트 하나 더 추가함

 

시리얼 포트 를 집어넣고 켜준다. 

 

 

 

녹색이 되어 있으면 물리적으로 연결이 됐따는 뜻 IP는 집어 넣지 않았다. 

 

라우터 1

10.10.10.5

 

(연결)

IP > 10.10.11/

(연결)

 

라우터2

10.10.12/

 

IP 내역이 3개 필요하다. 

 

라우터또 생기면 또 걔네들 끼리 IP를 다르게 해야함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아오 복잡해!

아무튼 하나의 라우터가 생기면 하나의 아이피가 생김

둘 사이 

 

 

 

 

 

 

 

라우팅 staic, rip ospe 방식 라우팅하고 데이터를 어떤 방식으로 연결을 해라 라는 걸 해줘야 한다. 

스태틱 방식은 > 10.10..10.0 > 10/10/10/5

 

네트워크 주소가 들어오면 네스트 홉에서 애한테 네트워크를 보내라 하는 거다

반대 편에서도 똑같은 방식으로 적용을 한다. 네스튼 홉 아이피를 입력해야 애네둘이 연결된다

무조건 뭐가 드렁오면 어디로 가라고 지정을 하면 애네는 저런 아이피가 들어오면 무조건 주변에 있는 라우터한테 물어봐

RIP 

10.0.00. 

너 이런 대역에 있는 애를 처리할 수 있는지 자동적으로 물어본다. 

라우터와 라우터끼리 물어봐서 통신을 하게끔 연결 해주는 방식

자동으로 물어보면 좋은데 느리다. 

 

스태틱은 사람이 힘들지만 대신 빠르다. 무조건 들어오면 깨한테 주면 된다

코어 네트워크, 핵심 네트워크는 스태틱 방식으로 썬다  받아서 보내만 주는 것

 

맨 아래에 있는 네트워크 라우터들은 RIP 방식을 쓴다. 

라우터끼리 (속기 내용 보기)

 


와이어 샤크 > 패킷을 분석할 때 사용

어떤 패킷이 들어오는 것을 알아볼 때 와이어샤크라는 것을 사용함


(오늘 수업 정리)

데이터베이스 연결 삭제 함

쿼리 날리고 삭제하고 조회하고 끝 

'서버 >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베이스 이론 (2)  (0) 2023.12.21
데이터 베이스 이론  (1) 2023.12.21
포스트랑 비주얼 연동!  (0) 2023.12.06
모듈 활용하기  (0) 2023.11.29
filter, map, reduce 함수, 재귀함수 등 코드 작성  (1) 2023.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