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te Blinking Unicorn

IT서비스 공부/ISCQB

테스팅에 관하여 공부 정리

민밥통 2024. 4. 18. 16:52

참고한 공부 자료

KSTQB

 

KSTQB

2024년 6월 4일 정기시험부터 ISTQB Foundation Level(CTFL) 자격시험은 실러버스 V.4.0으로 시행됩니다.  CTFL v.4.0 실러버스 다운로드 바로가기 (이전 버전(CTFL Syllabus 2018) 대상 정기시험은 2024년 4월이 마

www.kstqb.org


 

1.1 테스팅이란 무엇인가?

 

동적 테스팅: 테스트 대상 컴포넌트나 시스템을 실행

정적 테스팅: 테스트 대상 컴포넌트나 시스템을 실행하지 않는 테스팅(참고)

더보기
  • 요구사항, 사용자 스토리, 소스 코드와 같은 작업 산출물에 대한 리뷰 역시 테스팅에 포함
  • 베리피케이션(검증 verification) 밸리데이션(확인 validation) 둘 다 테스팅에 포함됨

 

1.1.2 테스팅과 디버깅(Testing and Debugging)

테스팅: 테스트를 실행하면 소프트웨어 결함으로 인한 장애를 찾아낼 수 있음

디버깅: 그런 장애의 원인을 찾고 분석해서 수정하는 개발 활동

 

이후 실행되는 확인 테스팅에서 결함을 제대로 수정했는지 확인함.

테스터가 초기 테스트와 마지막 확인 테스트를 담당하고 개발자는 디버깅 관련 컴포넌트 및 컴포넌트 통합 테스팅(지속적 통합)을 수행한다. 

 

애자일 개발 및 기타 소프트웨어 수명주기 모델에서는 테스터가 디버깅과 컴포넌트 테스팅에 관여하기도 한다. 

 

1.2 테스팅이 왜 필요한가? Why is Testing necessary?

컴포넌트, 시스템 및 관련 문서에 대한 철저한 테스팅은 운영 중 장애 발생 가능성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결함을 발견 및 수정하는 것은 컴포넌트나 시스템의 품질에 기여한다.

소프트웨어 테스팅이 계약/법적 요구사항이나 특정 산업 표준을 만족시키기 위해 필요할 수도 있다. 

 

1.2.2 품질 보증과 테스팅 (Quality Assurance and Testing)

품질 보증(QA, Quality Assurance), 테스팅 => 포괄적인 개념 품질 관리(Quality Management)

품질 관리에는 품질 측면에서 조직이 나아가야 하는 방향을 제시하고 제어하는 모든 활동이 포함된다.

 

'IT서비스 공부 > ISCQB'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TQB 자료 및 출처 모음  (0) 2024.04.18